자바스크립트 기초
1. 변수 :: primitive 타입과 object의 차이점
[유튜브 링크]
primitive 타입: 문자열, 정수 등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의 정보가 직접적으로 저장
let 변수명 = 변수값(number, string, boolean, null, undefined 등)
ex) let number = 2;
let number = '2';
let number = 2;
let number2 = number;
일 때, number변수와 number2는 별도로, number2에는 선언시의 number의 값이 복사되어 저장된다.
이후 number을 변경할 시, number2는 변경되지 않는다.
object 타입: 데이터가 할당될 때 간접적으로 할당(메모리 위치를 뜻하는 일종의 포인터 저장)
최소 한두가지의 다양한 데이터를 한군데다 묶어놓은 타입(배열, 리스트, 함수 등)
let obj = {
name: '엘리',
age: 5
};
let obj2 = obj; 를 선언 할 때, obj2에는 obj주소가 복사되어 들어가기 때문에, obj1을 변경하면 obj2도 변경된다.
let 과 const
let은 선언 후 변경이 가능하나 const는 선언 후 변경이 불가능하다(변경하려고 할 시 타입 에러 발생)
단, obj의 경우 const로 선언된다고 해도 obj.name = '이름' 등으로 레퍼런스가 가리키고 있는 변수는 변경이 가능하다.
+ 추가 자료
var 과 let과 const
var: 함수 범위를 가지며 변수 재선언 가능
let: 블록 범위를 가지며 변수 재선언 불가, 재할당 가능
const: 블록 번위를 가지며, 변수를 상수로 선언하여 재할당이 불가
2. 데이터 타입 - 문자열(String)과 숫자
[ 유튜브 링크 ]
str.length
str.toUpperCase()
str.indexOf('O') => 없을 경우 -1, 있을 경우 배열 첫 주소값
str.trip() => 앞뒤 공백 자르기
"1"+"1" 의 결과값은 "11"
1+1의 결과 값은 2가 된다.
3. 배열
4. 객체
5. 함수
6. 연산
SQL 기본 문법
1. SQL 기본 구조 :: SQL 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2. SQL 명령어 :: SQL 기본 명령어/ 데이터 정의어(DDL)/ 데이터 조작어(DML)/ 트랜젝션 제어어(TCL)
3. SQL 문법 :: 데이터 조회(SELECT)/ 테이블 결합(JOIN)
4. SQL 활용 :: 연산자 및 함수(1)/ 연산자 및 함수(2)
'DO IT! > 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IC, 이걸로 끝내자(feat. 멜팍 학원) (0) | 2024.05.02 |
---|---|
[자격증: SQLD] 요약 (작성 중) (0) | 2023.11.10 |
댓글